숫자는 만 단위로 끊어 적는다

가장 기본적인 원칙은 숫자는 아라비아 숫자로 적되, 쉼표 없이 만 단위로 끊어야 한다는 것이다.

예) 343,000 → 34만 3000

다만 환율이나 주가지수처럼 숫자 자체가 정보일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쉼표 사용이 허용된다.

또한 숫자 뒤에 ‘차례’, ‘번’, ‘배’ 같은 말이 붙을 때는 숫자를 한글로 바꿔야 한다.

예) 3차례 → 세 차례

그러나 ‘128명’처럼 사람이 많거나 사물 수가 10을 넘으면 아라비아 숫자를 그대로 써도 무방하다. 이는 가독성을 고려한 실용적 기준이다.

정확한 수치를 알 수 없거나 근사치를 나타낼 경우에는 ‘약’, ‘가량’, ‘수준’ 등의 표현을 함께 사용해 대략적인 의미를 명시해야 한다.

예) 19만 9500 → 약 20만/20만가량/20만 수준

날짜와 시간 표기도 독자의 직관에 맞게 바뀌어야 한다. 날짜를 표현할 때는 기준 시점인 ‘오늘’을 중심으로 이전은 ‘지난’, 이후는 ‘오는’이라는 말을 덧붙여 구분한다. 시간은 오전과 오후로 나누어 쓰되 오전인지 오후인지 분명히 밝힌다.

예) 오전 12시 → 밤 12시/0시

기사에서 영어와 숫자가 함께 쓰일 때는 조사의 처리도 중요하다.

예) 지피티(GPT) 3를/지피티(GPT) 3을

이처럼 기사 속 숫자 표현은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 독자와의 소통을 위한 언어적 배려다. 독자의 눈에 잘 들어오고, 읽기 쉬우며, 오해 없는 정보 전달이야말로 신뢰받는 기사의 기본 조건이기 때문이다.

참조: 우리말 기자 수첩

이 블로그는 보도자료 배포의 리더인 뉴스와이어(www.newswire.co.kr)가 운영합니다. 뉴스와이어에 가입하면 블로그를 구독할 수 있습니다. 또한 보도자료를 등록해 기업 소식을 빠르게 널리 전파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 회원 가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