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황에 어울리는 조사를 선택하자

조사는 문장 성분을 잇고 문맥을 명확히 하는 핵심 요소다. 특히 ‘은/는’과 ‘이/가’는 의미 차이를 고려해 사용해야 하며, 문장의 주안점, 대조 관계, 주절·종속절 구성을 통해 적절히 선택해야 한다.

‘은/는’ vs ‘이/가’ 구별 원칙

주어가 처음 등장하거나 존재·상태를 설명할 때 → 이/가 예) 옛날에 한 농부가 살았다
주어가 주목의 대상일 때 → 이/가 예) 철수가 1등이래
대조나 비교를 나타낼 → 은/는 예) 영희는 집에, 철수는 학교에 간다
속성을 설명할 때 → 은/는 예) 사람은 누워서 잔다
종속절의 주어일 때 → 이/가 예) 학교가 파하자 철수는 집에 왔다

조사 중복 및 불필요한 강조 지양

조사의 중첩 사용은 피하고, 하나로 간결하게 표현한다.
예) “한국산 제품의 중국 시장 내에서의 위상” → “중국 시장 내 위상”

목적격 조사 ‘를’은 불필요한 강조를 피한다.
예) “감소를 했다” → “감소했다”

함께 참고하면 좋은 조사의 쓰임 예시

대통령은 기념사를 하고 있다 → 대통령이 기념사를 하고 있다
우리나라가 물 부족 국가다 → 우리나라는 물 부족 국가다
수요 급감으로 인한 가격 하락 → 수요 급감에 따른 가격 하락

조사의 선택은 문맥적 역할과 정보 구조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
단순한 주어 진술은 ‘이/가’, 대조나 주제 제시는 ‘은/는’을 쓴다.
같은 조사 반복, 불필요한 강조는 문장 흐름을 방해하므로 피해야 한다.

출처: 우리말 기자 수첩

이 블로그는 보도자료 배포의 리더인 뉴스와이어(www.newswire.co.kr)가 운영합니다. 뉴스와이어에 가입하면 블로그를 구독할 수 있습니다. 또한 보도자료를 등록해 기업 소식을 빠르게 널리 전파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 회원 가입 >